알바 뮈르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 뮈르달은 스웨덴의 사회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1982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자이다. 웁살라에서 태어나 군나르 뮈르달과 결혼했으며, 1930년대에는 저서 '인구 문제의 위기'를 통해 스웨덴 복지 국가 형성에 기여했다. 국제 연합에서 여성으로서 최초로 요직을 맡았으며, 군축 회의에서 스웨덴 대표를 역임하고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 초대 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도시의 아이들', '국가와 가족', '군축의 게임' 등이 있으며, 아들 얀 뮈르달과 딸 시셀라 복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바 뮈르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바 레이메르 |
출생 | 1902년 1월 31일 |
출생지 | 스웨덴 웁살라 |
사망 | 1986년 2월 1일 |
사망지 | 스웨덴 단데뤼드 |
배우자 | 군나르 뮈르달 (1924년 결혼) |
자녀 | 얀 뮈르달, 시셀라 복 포함 3명 |
친척 | 힐러리 복 (손녀), 스테판 푈스터 (손자) |
직업 | |
직업 | 정치인, 사회학자, 외교관 |
수상 | |
수상 | 독일 서적상 평화상 (1970년), 노벨 평화상 (1982년) |
경력 | |
경력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국회의원 유엔 사회국 국장 스웨덴 사회당 대표최고위원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대표전임고문 |
직책 | 인도 주재 스웨덴 대사 |
임기 | 1955년 4월 30일 ~ 1961년 4월 30일 |
학력 | |
학력 |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 대학원 |
2. 생애
웁살라에서 태어나 1924년 군나르 뮈르달과 결혼했다. 1930년대 남편과 공동 집필한 ''인구 문제의 위기''는 개인의 자유, 특히 여성의 자유를 위한 사회 개혁을 주장하며 스웨덴의 복지 국가 모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에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 우생학적 관점도 일부 담겨 있다.
오랫동안 스웨덴 사회 민주 노동당의 당원이었던 그녀는 1940년대 후반부터 국제 연합(UN)에서 활동하며 복지 정책 부서 책임자(1949년)와 유네스코 사회 과학 부문 의장(1950-1955년)을 맡았다. 유네스코 의장직은 UN에서 여성이 고위직에 오른 첫 사례 중 하나였다.
1962년 스웨덴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1973년까지 제네바에서 열린 UN 군축 회의에 스웨덴 대표로 참여했다. 1966년부터 1973년까지 군축 담당 장관을 지냈고, 1966년에는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의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 이러한 평화와 군축을 위한 노력으로 198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작가 얀 뮈르달과 철학자 시셀라 복은 그녀의 자녀이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알바 뮈르달은 1902년 웁살라에서 건설업자인 아버지 알베르트 레이머와 어머니 로와 욘손 사이에서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 그녀에게는 루스(1904–1980), 폴케(1906–1977), 메이(1909–1941), 스티그(1912–1977) 네 명의 동생이 있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사회주의자이자 현대 자유주의자였고, 어린 시절 가족은 에스킬스투나, 엘브쇼, 스톡홀름 등 여러 곳으로 이사하며 살았다.그녀는 심리학과 가족 사회학을 공부하여 1924년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군나르 뮈르달과 결혼했다.
1929년, 뮈르달 부부는 록펠러 재단 연구원 자격으로 미국으로 건너갔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 알바 뮈르달은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심화했으며, 특히 아동 교육에 대한 지식을 넓히는 데 집중했다. 이 시기 미국 사회의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목격하면서 정치적 신념을 더욱 확고히 했는데, 그녀와 남편은 자신들의 정치적 관점을 설명하기 위해 '급진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부부는 스위스 제네바로 이주하여 연구를 이어갔고,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유럽에서 우려되던 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2. 2. 가족 및 인구 문제에 대한 정치 활동
뮈르달은 1930년대에 처음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으며, 스웨덴 복지 국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1934년 남편 군나르 뮈르달과 함께 ''인구 문제의 위기''(Crisis in the Population Questioneng)라는 책을 공동 집필하여 스웨덴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당시 스웨덴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자유, 특히 여성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출산을 장려할 수 있는 사회 개혁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부모와 훈련된 아동 교육 전문가들이 함께 아동 교육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책은 1930년대 시대상을 반영하여 우생학적 관점을 일부 포함하기도 했다.뮈르달은 당시 스웨덴 어린이집 운영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가졌다. 그녀는 1935년 ''도시의 아이들''(Stadsbarnswe)이라는 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스웨덴 유치원 시스템 모델을 제시했다. 그녀는 기존의 아동 보육 시스템이 빈곤층을 위한 구제책과 부유층 자녀를 위한 사립학교 준비 과정으로 정치적 양극화되어 있다고 비판하며, 교육 기회에 경제적 장벽이 존재함을 지적하고 사회적, 경제적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뮈르달은 이러한 양극단을 통합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상했다.
이러한 이론을 실천에 옮기기 위해, 뮈르달은 1936년 국립 교육 세미나(Statens seminarium för småskollärarinnorswe)를 공동 설립하고 이사직을 맡았다. 그녀는 이곳에서 직접 교육학자로서 유치원 교사들을 양성하는 데 힘썼다. 뮈르달은 유치원 교사 훈련 과정에서 최신 교육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아동 심리학의 새로운 발견과 사회 연구를 교육 과정에 통합하고자 노력했으며, 여성 교사들의 개인적인 성장 또한 중요하게 여겼다.
또한 건축가 스벤 마르켈리우스와 협력하여 1937년 스톡홀름에 여성의 가사 노동 부담을 줄이고 가정 내 자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협동조합 형태의 ''집단 주택''(Kollektivhusetswe) 건설에 참여했다. 같은 해,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여성 대표성 증진 위원회(Kommittén för ökad kvinnorepresentationswe)의 위원으로 활동하며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서도 노력했다.[2]
2. 3. 전후 경력
오랫동안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의 저명한 일원이었던 알바 뮈르달은 1940년대 후반부터 국제 연합(UN)과 관련된 국제 문제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49년에는 UN의 복지 정책 부서를 이끌도록 임명되었으며, 1950년부터 1955년까지는 유네스코(UNESCO)의 사회 과학 부문 의장을 역임했다. 이는 UN에서 여성이 이러한 중요한 직책을 맡은 첫 사례였다. 1955년부터 1956년까지는 인도 뉴델리, 미얀마 양곤, 스리랑카 콜롬보 주재 스웨덴 특사로 활동했다.[3]1951년부터는 영국 기반의 사회학자 비올라 클라인과 협력했으며, 1958년에는 국제 대학 여성 연맹의 지원을 받아 ''여성의 두 역할: 가정과 직장''(Women's Two Roles: Home and Work영어)이라는 책을 공동 집필했다. 이 책은 여성이 가족 생활과 직업 생활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사회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를 담고 있다.[4]
1962년 뮈르달은 스웨덴 의회인 릭스다그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부터 1973년까지 제네바에서 열린 UN 군축 회의에 스웨덴 대표로 파견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매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미국과 소련 등 초강대국들이 구체적인 군축 조치를 취하도록 압력을 가하려는 비동맹 운동 국가 그룹의 리더로 부상했다. 제네바에서의 경험은 그녀의 저서 ''군축의 게임''(The Game of Disarmament영어)에 반영되었는데, 이 책에서 그녀는 미국과 소련의 군축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에 실망감을 표현했다.[5]
뮈르달은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 설립에 참여했으며, 1966년에는 이사회의 초대 의장을 맡았다. 1967년부터 1973년까지는 군축 담당 자문 내각 장관을 역임했다. 1976년에 처음 출판된 ''군축의 게임''은 그녀의 군축 활동을 대표하는 저서가 되었다. 군축을 위한 그녀의 노력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1982년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1983년에는 아돌프 프레드릭 음악 학교의 미래를 둘러싼 논쟁이었던 "AF-투쟁"(스웨덴어: AF-striden)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6]
이 외에도 뮈르달은 보육 개혁을 추진했으며, 여성 노동에 관한 정부 위원회 위원 및 여성 실업인 연맹 의장으로도 활동했다.[7]
3. 여성의 역할과 사회 참여
뮈르달은 1930년대부터 스웨덴 복지 국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녀는 여성의 사회 참여와 양성평등을 위한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한 선구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1934년, 남편 군나르 뮈르달과 함께 ''인구 문제의 위기''(Crisis in the Population Question)를 공동 집필했다. 이 책은 개인의 자유, 특히 여성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또한, 부모와 전문 아동 교육자가 함께 아동 교육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여성의 육아 부담을 사회가 분담해야 함을 시사했다.
뮈르달은 당시 스웨덴의 어린이집 운영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가졌다. 1935년 저서 ''도시의 아이들''(Urban Children)을 통해 기존 아동 보육 시스템이 부유층을 위한 사립 교육과 빈곤층을 위한 구호 조치로 정치적 양극화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모든 아동이 경제적 배경과 상관없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여성이 안심하고 자녀를 맡긴 후 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이러한 이론을 실천에 옮기기 위해 1936년 국립 교육 세미나를 공동 설립하고 이사로 활동하며 직접 유치원 교사를 양성했다. 그는 교육 과정에 최신 아동 심리학 연구 결과를 통합하고 사회 연구와 여성의 개인적 발달을 중시하는 교육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여성의 사회 참여 지원 노력은 주거 환경 개선으로도 이어졌다. 1937년 건축가 스벤 마르켈리우스와 협력하여 스톡홀름에 협동조합 방식의 ''집단 주택''(collective house)을 설계했는데, 이는 공동 시설을 통해 여성의 가사 노동 부담을 덜고 가정 내 자유를 확대하려는 혁신적인 시도였다.
같은 해,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여성 대표성 증진 위원회(Kommittén för ökad kvinnorepresentation)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에도 기여했다.[2]
1938년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도 스웨덴의 가족 정책과 인구 문제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 1941년 ''국가와 가족''(Nation and Family)을 출판했다. 이후 영국 사회학자 비올라 클라인과 함께 ''여성의 두 역할: 가정과 직장''(Women's Two Roles: Home and Work, 1956)을 공동 집필하며, 여성이 가정과 직장에서의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 시스템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했다. 이 저서는 이후 여러 국가에서 번역되어 여성의 사회 참여와 역할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
4. 주요 저서
- ''인구 문제의 위기'' (Kris i befolkningsfrågansv, 1934) - 군나르 뮈르달과 공저
- ''도시의 아이들'' (Stadsbarnsv, 1935)
- ''국가와 가족'' (Nation and Family영어, 1941)
- ''여성의 두 역할: 가정과 직장'' (Women's Two Roles: Home and Work영어, 1956) - 사회학자 비올라 클라인과 공저. 국제 대학 여성 연맹의 지원을 받아 여성이 가정과 직업 생활을 조화시키기 위한 사회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집필했다.[4]
- ''군축의 게임'' (The Game of Disarmament영어, 1976) - 제네바에서 열린 UN 군축 회의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되었으며, 미국과 소련의 소극적인 군축 태도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5][6]
5. 수상 및 서훈
- 서독 평화상 (1970년; 남편 군나르 뮈르달과 공동 수상)[10]
- 와텔러 평화상 (1973년)[14]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대상 (1975년)[9]
- 모니사니엔 상 (1976년)[14]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평화상 (1980년)[10]
- 자와할랄 네루 국제 이해상 (1981년)[10]
- 노벨 평화상 (1982년;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와 공동 수상)[11]
6. 가족 관계
1924년, 군나르 뮈르달 교수와 결혼했다.[8] 남편 군나르 뮈르달은 스웨덴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들 얀 뮈르달(1927년 출생, 작가 및 언론인), 딸 시셀라 복(1934년 출생, 철학자), 그리고 딸 카이 푈스터(1936년 출생) 세 자녀를 두었다.[8] 손자녀로는 힐러리 복과 스테판 푈스터가 있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82
https://www.nobelpri[...]
[2]
간행물
'"Utan kvinnor inget folkstyre": en historisk exposé över kampen för ökad kvinnorepresentation i Sverige'
Tidskrift för genusvetenskap.
2010
[3]
웹사이트
Biografie Alva Myrdal
http://agso.uni-graz[...]
2013-11-22
[4]
문서
p. IX.
[5]
웹사이트
Nobel Prize Biographical – Alva Myrdal
https://www.nobelpri[...]
[6]
B.A.
Musikklass – ett pedagogiskt spänningsfält
http://epubl.ltu.se/[...]
Luleå University of Technology
2014-12-14
[7]
문서
The Hutchinson unabridged encyclopedia with atlas and weather guide
http://cordproxy.mnp[...]
Helicon
[8]
서적
Vem är vem? 1, Stor-Stockholm
https://runeberg.org[...]
Vem är vem
1962
[9]
웹사이트
Samtliga pristagare av KTH:s stora pris
https://www.kth.se/a[...]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2020-09-23
[10]
웹사이트
Alva Reimer Myrdal
https://www.britanni[...]
2020-09-23
[11]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82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08-11-12
[12]
서적
Vem är det: svensk biografisk handbok. 1985
https://runeberg.org[...]
Norstedt
[13]
웹사이트
Honorary Graduates 1904–2019
https://www.leeds.ac[...]
University of Leeds
2020-09-23
[14]
서적
Women Nobel Peace Prize Winners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Inc.
[15]
웹사이트
Past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www.temple.e[...]
Temple University
2020-09-23
[16]
웹사이트
Myrdal, Gunnar. Selected Works by Gunnar Myrdal, 1965-1972. CAMC Collection 97. 1 Hollinger box.
https://libguides.gu[...]
Gustavus Adolphus College
2020-05-14
[17]
웹사이트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www.brandeis[...]
Brandeis University
2020-09-23
[18]
서적
Hedersdoktorer vid Göteborgs universitet under 100 år: 1907-2007
https://medarbetarpo[...]
Göteborgs universitet
[1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22-06-06
[20]
뉴스
Alva Reimer Myrdal Swedish diploma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